학원수업을 듣다보면 하루에도 수십번 난관에 봉착하며 혼자 되내인다. 처음엔 고뇌에 빠져 멘탈이 살짝 흐릿해지다가, 컴퓨터 공부한지 이제 2개월인데 잘하는게 이상하지. 차분히 내가 해야할 공부를 해야지 한다.... 정신이...ㅋㅋ 암튼 오늘 collection부분을 수업하기전에 선생님께서 인터페이스와 관련되 문제를 몇개 내주셔서 풀고있던 중 여지껏 너무 헤깔렸던 개념에 대해 먼가 길을 찾고자 자바의 정석을 펼쳤다. 1. 접근제어자(access modifier) 음... 자바의 정석을 보면 객체지향 전까지 프로그래밍 언어에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문법들을 배운다. 그땐 변수 앞에 왜 public이 붙는지... 조건문과 반복문, 그리고 여러가지 챕터를 배우기 바빠서 사실 궁굼해 하지 않았던 부분들이 객체지향파..
사진 화질이 좀 안좋은거같기도하고...ㅋㅋ 2주에 한번씩 샤워를 하는 보리.오늘이 마침 그날이라 학원을 다녀와서 할건 많았지만... 집에 오는 길에 미용실에가서 머리자르고, 헬스장에서 운동을 좀하고 나와서 보리랑 산책을 한뒤 샤워시키고 간식주고 밥먹으니까 11시가 됬다. 샤워한날에만 하나씩 주는건데 엄청 맛있게 먹는다~ 요즘 발바닥을 자주 핥아서 보니까 빨갛게 되있어서, 더더욱 미루지 않고 샤워를 시킨것도 있다. 주말까지 지켜보고 더 심해지거나 하면 병원을 한번 들려야할 것 같다. 추가로 주말에 침대에서 자고있던 우리 보리~ ㅋㅋ ^_^!!!!!!
1. github에 가입하기 먼저 위의 링크로 들어가서 github에 가입해야한다. 가입하게되면 github 서버에 자신의 소스를 올릴 수 있는, remote repository를 만들 수 있게 된다. 1) 로그인해서 메뉴바에 보면 Overviews옆에 Repositories가 있다. 거기에서 new를 누른다. 2)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자신이 사용할 Repository의 이름을 지정한다.- optional은 자신의 임의로 작성하고 안썼다면 나중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밑의 Public / Private가 있는데 Public이 있는데 Public을 선택한다면, 이 repository를 누구나 볼수있고 commit을 할 수있게 만들겠다는 것이고, Private는 말 그대로 이 reposito..
앞으로 학원에서 진행될 프로젝트를 위해서 git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부분들과 유튜브를 통해 알게된 부분들을 이곳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1. 형상관리 system1) 형상관리 = 버젼관리 = 소스관리 처음에 수업을 들었을때, 관리는 무언가를 관리하다 라는 의미로서 이해가 쉽게 됬지만, 형상이란게 쉬운말로 뭘까라는 생각을 하게됬다. 간단히 말하면 버전이라고 생각해보면 될 것 같다. 롤에 새로운 챔프가 생기거나 아이템들이 추가되면 업데이트가 진행되는데 그때 보면 버젼의 숫자가 바뀐걸 알 수 있다. 그러한 어떠한 의미있는 변화나 개선들, 기존에 존재했던 버그들을 수정하거나, 사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했을때, 그때 우리가 관리하는걸 형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이는 프로젝트의 처음부터 끝의..
1. java 설치하기1) 오라클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developers -> Downloads로 들어간다.(설치 누르면 다운로드할수있는 oracle 홈페이지로 이동) 2) 카테고리중에 java를 누르면, 3) 아래의 그림처럼 java의 하위 카테고리 칸으로 이동된다. 4) 여기서 jdk download를 누른다. 5) 아래에서 accept를 체크한뒤,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java를 다운받는다. 2. java 환경변수 설정하기1) 내 컴퓨터에서 오른쪽 클릭한 뒤 속성으로 들어가서 아래의 '고급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간다. 2) 여기서 환경변수창으로 들어간다. 3) 먼저 아래의 '시스템 변수(s)'에서 '새로만들기(w)'를 누르고 아래의 값을 입력한다.- 변수 이름은 아래와 동일하게, 그리고 변수 값은..
하....1시반부터 git bash로 usb에 소스파일을 올려놓고 github에 push할 파일을 만들고 연결하는데 정확히 거의 2시간이 좀 넘게 걸렸네.... 학원에서 spring project파일을 올리는 repository를 만들어봤으니까 쉽게 할줄알았는데 생각보다 너무 오래 걸렸다. 다른거 복습도 좀 할려고했는데 지금 안자고 학원을 가면 100% 집중하긴 힘들거같아서 잠을 자야될 것같다. 일단 임시로 파일을 만들어서 올리긴했는데 차차 소스를 몇개 올린다음에 push 했을때 제대로 반영되는지 확인해봐야겠다.. 제대로 되면 블로그에 글도 남길 계획~
아침에 나올때 에어컨을 잠깐 켜두고 나오는데 창문을 다 닫고 나오니까 집에오면 왠지 더운가같기도하고, 오늘은 좀 선선해서 다행인데 보리가 답답해했을거같아서 오랜만에 산책을 나왔다 다음주 목요일인가 말복인데 빨리 가을이와서 좀 시원해져야 산책도 더 자주하고 할텐데 ㅋㅋ 가만히 세보니까 길가다 만나는 전봇대 중 대충 80로 이상? 가서 오줌을 논다 저렇게. 나오지도 않는데 ㅋㅋㅋ 바람도 쐴겸해서 집가면 공부해야되니까 보리랑 앉아서 쉬는중에 이렇게 글을 남긴다 세상에서 제일 이쁜 우리 보리~
블로그를 옮기면서 기본테마인 지금의 테마에서 html에 작은 부분을 몇군데 고쳤다. 글씨체랑 간격정도? 간단했지만그리고 오늘 파비콘을 등록했다. 생각보다 간단해서 글을 올린다~ - X-Icon Editor 홈페이지 여기에 들어가서 import부분을 누르면 jpg파일등 다양한 형식의 사진 파일을 올릴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이 원하는 pixel 크기를 정한뒤 Export(추출)하면 .ico형식의 파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티스토리 설정에서 등록하면 끝! 그럼 다음과 같이 방금 만든 사진이 들어가 있는 걸 볼 수 있다!
- 먼저 get과 set의 개념을 이해해야게 될 것같다. 좋은 예제가 많기 때문에 이해하는데 좀 더 수월했다. - 인터페이스에 있는 추상메서드의 구현 - 소수구하는 알고리즘(?) 1. SumIF 인터페이스 생성- 공통된 부분이 합계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int 타입의 매개변수를 받는건 보여주지만 몸통이 구현되지 않은 추상메서드만을 가지고 있다. package intheclass.models; public interface SumIF { // 추상메서드 하나를 멤버로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 기본형 int타입의 변수 n을 매개변수로 받는 추상메서드 int sum(int n); } 2. OddNum 클래스 생성(Odd = 홀수)- SumIF를 상속받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상속키워드인 implement..
할일을 미루는 사람의 심리를 설명하면서 그걸 견제해주는 Panic Monster라는 존재가 등장한다. 일시적인(그리고 영원히??) 편안함과 만족감만을 추구하는 Monkey의 천적! 덜 즐겁지만 자신의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일인 Hard Thing의 영역에서 Panic Monster는 인간의 행동에 일정 부분 강제성을 부여해주는 기제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대학시절 교수님께 받은 과제는 항상 Dead line이 있었듯이 말이다. 화자가 마지막에 말하는 인생달력이란게 인상깊다. 27살인 지금 저기에서 나는 몇칸을 채웠을까? 그위에서 수많은 Monkey들이 뛰어놀았을거라는 생각을 하니까 약간의 소름이 돋는다. 그걸 토대로 앞으로 Panic Monster와 함께하는 삷?을 그려본다.(참고! 화자의 어조가 흑백논리..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