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엔 저녁에 알바를 하기 때문에, 학원다녀와서 독서실에 갔다가 저녁에 보리를 미용시켜줬다. 항상 미용실에가서 3~4만원씩 주고 했지만, 엄마가 얼마전에 미용기계를 사와서 (바리깡과 비슷한) 김치냉장고 위에 보리를 올려두고 털을 밀기 시작했다. 밀려고했던 부분이 엉덩이랑 배쪽, 그리고 입가에 털들과 요즘에 하도 보리가 발을 핥아서 위생에 안좋을까봐 발쪽 털을 좀 많이 밀었다. 저녁에 다행히 시원해서 창문을 열어놓고, 이발을 시작했는데 보리가 얼마나 움직이던지, 괜찮아 괜찮아 조금만 밀께 하면서 30분정도 밀었다. 밀면서 느낀건, 큰돈 안주고 간단한 미용은 내가 알아서 할 수 있겠다라는 것과, 애견 미용하시는 분들이 참 얼마나 힘들까... 하는 생각들 ㅎㅎ 세상에....ㅋㅋ미용은 처음이라 너무 서툴렀지만...
이번 금요일부터 학원에서 아두이노 과정이 시작해서, C언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절차지향 언어인 C를 공부하기 위해 코드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 Code::Blocks에 대해서 (위키백과) 1. 코드블록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다운로드를 누른다. 2. Download the binary release를 누른다. 3. 윈도우를 사용하고있기 때문에 운영체제를 선택한뒤 setup.exe파일을 다운 받는다. 설치가 완료되면 setup.exe파일을 실행한 뒤, 잘 깔렸는지 확인한다.
깊은 개념은 아니고, 선생님께서 말씀해주신 내용이 피와살이 될거같애서 여기다 정리해봤다. 오늘 오전 수업에서는 GCP의 was서버에 설치한 tomcat과 apache를 연동하는 실습을 했다. 그 과정에서 선생님께서 구조에대해서 설명해주셨는데 요점을 정리해봤다. 유저가 url을 통해 80포트인 Apache로 먼저 접근하면 connector역할을 하는 AJP를통해 Tomcat에서 동적인 기능을 하는 jsp를 받아와서 그걸 유저에게 전달하는 형식을 그림으로 그렸다. 역할을 설명하면 Apache는 정적인 부분만을 담당하고, 동적기능(jsp)를 받아오려면 Tomcat에 요청을 보냈다가 받아와야 한다. 때문에 둘을 붙여쓰는데 보다시피, Apache는 C언어 기반으로 만들어져 성능이 뛰어나고 빠른반면에, Tomcat..
주말에 보리랑 산책하면서! 날씨가 요즘은 좀 선선해져서 오랜만에 중랑천에 갔다 (늦은시간이였지만 ㅎㅎ) 포스팅을 이제야 하는 것도 있지만 사실 주말에 보리에게 오랜만에 단호박을 쪄줬다. 그리고 사료랑 조금 섞어서 줬는데 너무 잘먹는다~ 태풍이 올라오고 있다고하는데 날씨좀더 선선해지고 형 학원마무리되면 산책도 좀더 자주다니자!
- 이글을 작성한 이유spring을 사용하는데 tomcat설치이후 기존에 tomcat에 할당된 8080포트가 작동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런저런걸 찾아보다 보니, 기존에 설치되어있던, 오라클이 8080포트를 사용하고 있었던것! 그래서 구글링을 통해 cmd의 sqlplus에서 포트번호를 확인하고, 변경후, 8080을 tomcat에 부여하는 방법을 포스팅해볼까 한다. 1. cmd창에서 sqlplus를 실행2. 오라클의 system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로그인한다.3. select문을통해 dual테이블에서 httpport의 값을 구한다. -> 현재 5000port를 사용하고 있다.select dbms_xdb.gethttpport() from dual;4. 포트를 변경한다.( ( ) 안에는 자신이 바꾸고 싶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